철도역은 단순히 승객이 오르내리는 공간이 아니다. 역의 이름은 그 지역의 지리·역사·문화를 반영하며, 때로는 한 시대의 변화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이름은 짧지만, 그 속에는 지역 사회의 정체성과 서사가 담겨 있다. 철도역 이름의 유래를 탐구하는 일은 곧 지역사의 숨은 이야기를 읽어내는 작업과 같다.
철도역 이름은 어떻게 정해졌을까?
철도역 이름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해 결정되었다.
- 지명 반영: 가장 일반적으로 역이 위치한 행정구역 이름을 따른다.
- 지형·자연환경: 산, 강, 바다와 같은 자연지형에서 유래한 경우가 많다.
- 역사·문화적 요소: 역사적 사건, 유적, 지역 전설 등이 반영되기도 한다.
- 행정·개발 정책: 도시 확장, 구역 명칭 변경에 따라 역 이름도 달라졌다.
한국 철도역 이름의 흥미로운 사례
1. 서울역
원래 이름은 **경성역(京城驛)**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수도의 의미를 담아 붙여진 이름이었으나, 광복 이후 수도 서울의 상징성을 반영해 오늘날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단순한 교통 거점이 아니라 한국 근현대사의 변화를 고스란히 반영한 이름이다.
2. 수원역
조선 시대 수원부(守垣府)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수원(守垣)’은 성곽을 지키는 고을이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오늘날에도 경기도 남부의 중심 도시로서 역사적 연속성을 이어간다.
3. 부산역
부산은 원래 ‘부산포(釜山浦)’라는 지명에서 시작되었다. 커다란 솥처럼 생긴 산(금정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부산역이라는 명칭은 단순히 도시를 대표할 뿐 아니라, 바다와 항구의 도시 부산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4. 청량리역
청량리(淸涼里)는 ‘맑고 시원한 마을’을 의미한다. 조선 시대부터 휴식과 교통의 요지였던 곳으로, 오늘날에도 강원·경북 방면 열차가 출발하는 기점이라는 상징성을 가진다.
5. 수인선 협궤열차의 ‘오이도역’
근처에 ‘오이처럼 생긴 섬’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협궤열차가 운행되던 시절에는 지역의 작은 어촌을 나타내는 지명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신도시와 관광지로 성장하면서 전혀 다른 풍경을 보여준다.
이름이 바뀐 역들의 이야기
철도역 이름은 시대적 맥락 속에서 종종 변경되기도 한다.
- 동대문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단순한 지명에서 벗어나, 역사·문화 공간으로 발전한 이미지를 반영.
- 마산역 → 창원중앙역(신설)과 구분: 도시 확장과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해 역 이름 체계도 바뀌었다.
- 경성역 → 서울역: 식민지 잔재 청산과 국가 정체성 회복을 위한 상징적 변화.
이처럼 역 이름은 행정, 정치, 사회 변화의 지표로 기능한다.
해외 철도역 이름의 특징
- 런던 킹스크로스(King’s Cross): 영국의 왕실을 기념해 붙여진 이름으로, ‘해리포터’ 시리즈의 무대로도 유명하다.
- 도쿄역: 일본 근대화의 상징으로, 수도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단순하고 직접적인 명칭이다.
- 파리 북역(Gare du Nord): 도시의 방향성을 반영한 이름으로, 북유럽과 연결되는 국제 노선의 관문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맺음말
철도역 이름은 단순히 위치를 알려주는 지표가 아니라,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상징적 코드이다. 역 이름 속에는 시대의 변화, 사람들의 기억, 그리고 지역의 정체성이 함께 담겨 있다. 따라서 역 이름을 탐구하는 일은 철도와 지역사회가 어떻게 함께 발전해왔는지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철도이야기 > 철도와 문화·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김정은 전용 열차 ‘태양호’: 권력과 철도의 상징 (0) | 2025.09.08 |
---|---|
폐역 탐방: 잊혀진 철도역이 지역 경제를 살리는 방법 (0) | 2025.09.08 |
도시재생과 철도역: 오래된 역이 지역 문화를 바꾸는 힘 (4) | 2025.09.06 |
철도와 군사, 전략적 교통로로서의 역할 (0) | 2025.09.04 |
세계의 철도역 건축, 역사와 현대의 만남 (4) | 2025.09.01 |
탄소중립 시대, 철도가 주목받는 이유 (3) | 2025.08.29 |
철도 관광이 지역 문화·관광 산업을 살리는 방법 (1) | 2025.08.22 |
교통약자를 위한 철도의 발전: 무장애(Barrier-Free) 열차 (1) | 2025.08.22 |